자바 - Switch
자바에서의 스위치문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.
public String getGrade(int score) {
switch (score/10) {
case 9 :
return "A";
case 8 :
return "B";
case 7 :
return "C";
default:
return "D";
}
}
코틀린 - When(Switch)
코틀린에서는 switch대신 when을 이용하여 제어문을 작성한다.
fun getGrade(score: int): String {
return when (score/10) {
9 -> return "A"
8 -> return "B"
7 -> return "C"
else -> return "D"
}
}
case 대신 ->를 통해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.
또한 ..을 이용하면 더 확장할 수 있다.
fun getGrade(score: int): String {
return when (score) {
in 90..99 -> return "A"
in 80..89 -> return "B"
in 70..79 -> return "C"
else -> return "D"
}
}
score가 해당 범위에 속하면(in) 조건에 따라 문자를 리턴한다.
조건문을 묶어서 리턴하는 것은 코틀린의 특징으로, 자바에서는 조건문이 Statement이지만, 코틀린에서는 Expression이기 때문에 조건문 전체를 하나의 값으로 판단한다.
'📙Language > 🤖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 테스트하기 어려운 부분을 분리하기 (0) | 2023.05.07 |
---|---|
[PUDDY] 코틀린 Kotest로 테스트하기(w. BehaviorSpec) (0) | 2023.04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