🍃Spring

[Spring] DTO를 사용하는 이유

waveofmymind 2023. 1. 22. 14:52

DTO란?

  •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, 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이다.
  • DTO를 사용하지 않고, Controller에서 View를 뿌릴때 도메인 객체를 Model을 통해 View에 직접 전달할 수 있지만, 민감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Model과 View가 강하게 결합되어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.
public class Member {
	public Long id;
    public String username;
    public String email;
    public String password; //외부에 노출되면 안됨
    public String info; //외부에 노출되면 안됨
}
@GetMapping
public ResponseEntity<Member> memberInfo(@PathVariable long memberId) {
    Member member = memberService.findById(memberId);
    return ResponseEntity.ok().body(member);
}

위처럼 Controller에서 @PathVariable로 받은 memberId의 정보를 바탕으로 도메인인 Member를 직접 넘겨주게 되면,

  • 도메인의 모든 속성이 외부에 노출된다.
    • 또한 Model 객체가 화면에서 사용하지 않을 불필요한 정보까지 보유하게 된다.
    • 비즈니스 로직 등, Member의 민감한 정보(password,info)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. 
  • Model과 View가 강하게 결합되어, View와 Model의 의존관계가 형성될 수있다.
    • Member Entity의 코드가 변경될 경우, View의 UI에도 변경이 요구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.
public class MemberDto {

	public final String username;
    public final String email;

    public static MemberDto toDto(Member member) {
        return new MemberDto(member.getName(), member.getEmail());
    }
}
@GetMapping
public ResponseEntity<MemberDto> memberInfo(@PathVariable Long memberId) {
	Member member = memberService.findById(memberId);
    return ResponseEntity.ok().body(MemberDto.toDto(member));
}

그래서 위와 같이 DTO를 사용하게 되면 도메인 Model을 캡슐화하고, UI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보낼수 있으므로, 앞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.